목록설치 및 설정 (10)
JSITCLUB
먼저 리눅스를 사용하려면 리눅스를 설치 해야겠죠. 리눅스를 가상머신에 설치해 윈도로 부팅하고, 리눅스를 사용해보거나, 부팅시 윈도와 리눅스를 선택하는 방법도 있는데, 여기에서는 소개하는 방법은 완전히 컴퓨터를 리눅스로만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리눅스를 설치하는 방법은 크게 1단계 : 리눅스 다운로드 2단계 : 부팅 USB 만들기 3단계 : 리눅스 설치 로 구분 할 수 있습니다. 준비물은 USB메모리가 필요합니다. (제 경우는 8기가를 사용했는데, 충분합니다. 어쩌면 그보다 작아도 될듯 한데, 직접한것이 아니라 장담할 수 없군요.) 1단계 : 리눅스 다운로드 제가 설치해본 리눅스는 우분투(ubuntu),민트(Mint, 하모니카 커뮤니티 배포판 )와 주분투(Xubuntu)인데, 여기서는 주분투로 설명하겠습니다..
오래된 노트북이 하나 있는데, 윈도 10은 고사하고, 윈도 7도 버벅거리는 상황에 좀 가벼운 OS를 찾다 보니 결국 올해 초부터 리눅스를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다가 사용하는데 큰 불편이 없어 주로 사용하는 컴퓨터에도 리눅스를 깔아 사용하고 있습니다. 혹시 돌발변수가 있을 수 있으니 윈도우용 컴은 하나 남겨 놓았고요.^^ 이전에도 리눅스가 궁금해서 가상머신에 깔아보았지만, 아무래도 가상 머신을 다시 실행하는 것이 점점 소홀해지더군요. 그래서 이번에는 아예 리눅스로 갈아탈 결심을 하고, 주로 사용하는 컴퓨터에 깔아보았습니다. 이제 벌써 반년이 지났는데, 생각보다 사용하는데 문제가 없어 무척 만족하고 있습니다. 아직은 몇몇 사이트 때문에 완전히 윈도로부터 완전히 독립할 수는 없지만, 그래도 거의 모든 일..
저에겐 10년이 훌쩍 넘은 오래된 노트북이 하나 있습니다. window 7으로 사용해 보려다 버거워해서 Linux mint를 깔아서 간단한 작업을 하는 것으로만 쓰고 있는데, 그마저도 힘들어하네요. 모델명은 삼성 노트북 sens R20인데, 사양은 CPU : Celeron(R) M 520 @ 1.60GHz RAM : 2G 입니다. 그래서 크롬 OS를 깔아 보려고 합니다. 크롬 OS는 브라우저 기반의 OS로 온라인을 주로 사용하고, 유튜브 시청을 하는데 적합합니다. 그리고 설치 방법도 다른 OS에 비해 간단하고 쉬워요.. 1. 크롬 OS를 다운로드하여 USB를 부팅 USB로 만듭니다. 다운로드는 www.neverware.com/freedownload#intro-text 로 가셔서 DOWNLOAD USB M..
윈도 10에서 IIS를 이용하여 웹서버를 얼마 전 만들어 봤는데, 이번에는 CGI(Common Gateway Interface )를 이용해서 python 프로그램을 실행 시켜 보려 합니다. 먼저 당연히 IIS는 웹서버가 설치 되어있어야 합니다.( https://jsitclub.tistory.com/56 ) 1. IIS를 설치 할 때 들어갔던 Windows 기능 켜기/끄기 화면으로 들어갈 것 설정 > 앱 > 프로그램 및 기능 > Windows 기능 켜기/끄기 2. CGI 선택 후 확인 인터넷 정보 서비스 > World Wide Web 서비스 > 응용프로그램 개발 기능 > CGI 3. wwwroot에 파일을 만들 수 있도록 폴더의 권한 설정 4. vscode로 파이썬 파일을 wwwroot에 만들기 파이썬 파..
나만의 웹서버를 갖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무료 웹서버 사이트를 이용하는 방법. 내 컴퓨터를 웹서버로 만드는 방법. ipTIME 공유기를 웹서버로 만드는 방법. 그중 내 컴퓨터를 웹서버로 만드는 방법은 또다시 아파치, nginx, iis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나뉜다. 오늘은 그중 windows 사용자라면 간단히 구축할 수 있는 IIS(Internet Information Services)에 대해 알아보려 한다. 먼저 자신의 컴퓨터에 웹서버가 아무것도 구축이 되어있지 않다면, 브라우저의 주소창에 localhost 또는 127.0.0.1라고 적은 후 엔터를 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올 것이다. localhost(127.0.0.1)이라는 주소는 자신의 컴퓨터를 의미하는 것으로 자신의 컴퓨터를 마치 원격 ..
얼마 전 내방의 프린터를 공유해서 멀리 있는 방에서도 출력을 잘하고 있다. 심지어 직장에서도 내방의 프린터로 출력이 가능해졌고 주변분들에게도 공유를 했었다. 그런데, 생각보다 공유기의 DDNS를 설정하는법을 모르는 분들이 많은 것 같아 ipTIME에서 DDNS 설정하는 법을 올려본다. DDNS를 설정한다는 것은 인터넷 상에 내 도메인 주소를 갖게 되는 것을 말한다. 이렇게 되면 외우기도 어렵고, 게다가 바뀌기까지 하는 IP주소 대신 언제나 일정한 주소를 갖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지난번 프린터를 설정 할때도 IP주소 대신 도메인으로 설정을 했던 것이다. 설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참고로 공유기의 기종은 ipTIME A2004 NS-R이지만, 다른 ipTIME 공유기도 설정법은 거의 비슷하다. 이 광고는 ..
요즘 자주 사용하는 html 편집기로 vscode를 강력 추천한다. 이전에는 html 편집기 뿐만 아니라 문서작업, 프로그래밍 등 작업에 따라 편집기도 제 각각 이었다. 심지어 프로그래밍은 c, c++은 codeblocks, java는 이클립스, python은 pycharm처럼 언어에 따라도 각각 달랐고, 각각의 사용법이 달라 무척 불편했다. 이것들을 통합해서 사용해보려고 visual studio도 깔아 봤는데, 설치에만 1시간이 넘게 걸릴 정도로 너무 무겁고.. 그런데, 얼마전 vscode를 알게 되고는 이것 하나로 끝! window 뿐 아니라 리눅스에서도 UI가 똑같아 사용하던 대로 그대로 사용하면 돼서 얼마나 편한지.. 그래서 아직 vscode를 모르는 분은 꼭 한번 설치해서 사용해보시길... vs..
공유기를 이용하여 프린터 공유를하는 방법은 경우와 상황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1. 같은 공유기에 컴퓨터와 프린터가 모두 연결되어 있을때 하는 프린터 공유 방법. : iptime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 프린터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설치만으로 비교적 쉽게 프린터 공유가 가능합니다. 2. 프린터가 랜케이블을 꼽을 수 있을 수 있는 기종으로 프린터가 자체 IP를 가질 때 사용하는 프린터 공유 방법. : 프린터를 공유기와 연결하고, iptime 공유기의 DDNS를 설정한 후 와 포트 포워딩 으로 프린터 공유가 가능합니다. 그런데, 오늘 이야기 하려고 하는 프린터 공유 방법은 조금 다릅니다. 위에서 말한 두가지 방법이 모두 안될때 사용하는 프린터 공유 방법입니다. 즉 같은 공유기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프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