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79)
JSITCLUB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AlVUZ/btqAM40GviL/dXk4pWnyPL8xFlnY9x0xI1/img.jpg)
파이썬 기초를 정리해서 올리고 있습니다. 강좌라는 거창한 이름보다는 작지만 알고 있는지식의 공유 정도로 보시면 되십니다. 대상은 프로그램을 처음 파이썬으로 접하시는 분으로 생각하고, 가능한 쉽게 설명하려 합니다. 하지만, 그 이유 때문에 이야기가 길어질 수도 있으니 그 점은 양해 바랍니다. 또한 반대로 어려운 내용이 있으면 댓글로 질문 주세요. 목표는 우선 문법과 간단한 문제 풀이 정도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iXrQV/btqAKieu7v9/dqfBJFjm7gcQ8LnBzEyUE1/img.png)
처음 프로그램을 배우는 분들이 궁금해하는 것이 '어떤 프로그래밍 언어를 배울까?' 일 것입니다. C, C++,C# 자바, 파이썬 그밖에 수많은 언어들 중에 도대체 무엇을 배워야 하나? "다른 언어들의 기초가 되는 C언어를 배워라." "객체지향과 강력한 라이브러리를 갖고 있는 C++를 배워라." "요즘은 자바세상이니 자바를 배워라." "아니 요즘 한창 뜨고 있는 파이썬을 배워라." ... 권하는 이유도 생각하는 의견도 너무나 다양합니다. 모두 틀린 말은 아니지만 제 생각에는 이와 같이 언어의 특징에 대한 접근보다 먼저 내가 무엇을 하고 싶은지 정하고 그것에 맞는 언어를 선택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프로그래밍 언어들은 각각의 강점을 갖고 있는 분야들이 있습니다. C는 하드웨어 나 임베디드에서 자바는 안..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6Lw4v/btqAJN6Nu2g/nAparfVMGlVnCgBfW4HqK0/img.png)
bool형은 논리값으로 True(참), Flase(거짓) 두 가지 값을 갖고 있습니다. 주의!! 흔히 논리값을 이야기할 때 2진수일 때를 생각하고, False는 0, True는 1로 알고 있는데, 반드시 앞으로는 False는 기본값,True는 기본값이 아닌 나머지라고 기억하세요. 즉, 정수에서 0은 False, 1 뿐 아니라 0이 아닌 모든 수는 True이고 문자열에서는 "", ''는 False 지만 나머지는 " "(공백), "0", "12" 모두 True입니다. 1. 비교 연산자 비교연산자는 두 값을 서로 비교하는 연산자로 결과가 bool형으로 나옵니다. 비교한 값이 맞으면 True, 틀리면 False가 결과가 됩니다. 비교연산자 사용 해석 == a==b a 와 b의 값이 같다 != a!=b a 와 b..
자료형은 데이터의 형태를 구분하는 것으로 우선 크게 숫자, 문자열, 자료구조로 나눌수 있는데, 처음 파이썬을 공부하시는 분들은 우선 정수형, 문자열, 리스트만 공부 하시고, 나머지 자료형과 자료구조는 필요할때 조금씩 공부하시면 됩니다. (처음부터 사용하지도 않는 것들을 모두 공부하면서 지치지 말란 의미 입니다. 나머지는 공부를 안해도 된다고 생각하지는 마시길, 특히 dict같은 경우는 웹프로그래밍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영문 한글 예 bool 논리형 True,False 숫자형 int 정수형 3, 45, 650, -12 float 실수형 3.5, 45.0, -32.52 complex 복소수형 3+5j 시퀀스형 str 문자열 'python', "hello", list 리스트 [34,56,74], ["jack..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iUnEN/btqAI4HLrAH/kOf8dzqMdtiik7EeuVMBm0/img.png)
파이썬에는 여러 가지 연산자가 있는데, 그중 자주 쓰이는 내용을 배워보겠습니다. 우선 연산자라는 말이 익숙하지 않을 텐데, 그냥 계산할 때 사용하는 기호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1. 일반 연산자 1행, 2행 : 각각 변수 a, 변수 b를 만들면서 값을 정의해주었습니다. 흔히 다른 언어에서는 변수를 사용하겠다고 하는 '선언', 변수에 처음 값을 넣어주는 '초기화'를 해주어야 하지만, 여기 파이썬에서는 선언과 초기화가 동시에 이루어진 거죠. 4행 ~ 7행 : 사칙연산(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을 하였습니다. 여기서 기억할 것은 컴퓨터에서는 곱하기는 '*'(별), 나누기는 '/'(슬래시)를 사용한다는 점입니다. 8행 ~ 9행 : 기타 연산자로 나머지(%), 정수 몫(//), 제곱(**)을 사용했습니다.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rbznK/btqAIfuDZ9q/XGZVDI5HZdvYAUSqQkRkt1/img.png)
프로그램을 만들어 사용할 때 계속 같은 계산을 하는 경우도 있지만, 주로 사용자에게 입력을 받은 후 계산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오늘은 사용자로 부터 값을 입력받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지 알려드리겠습니다. 1. input() - 키보드로 부터 값을 입력받는 함수입니다. 먼저 위의 코드를 실행하면 shell 창에 결과가 모두 나오지 않고 다음 상태에서 커서만 깜박거릴 것입니다. 이 곳 커서가 있는곳에 이름을 입력하고 엔터를 쳐야 하고, 나이 역시 값를 입력 후 엔터를 입력 쳐야 진행이 됩니다. #1 - 첫째 행과 둘째행에서 지난 시간에 배운 "변수명=값" 형태를 볼 수 있습니다. 오른쪽 input() 함수 로부터 받은 입력값을 왼쪽의 변수 name과 변수 age에 저장하게 되죠 - 세번째행 과 네 번째행..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ve0FE/btqAE75tjo4/uTqn1TaNiAhkRQmz2HOrcK/img.png)
프로그램을 배우지 않은 사람은 '변수가 무엇인가?' 질문받으면 수학 시간에 배운 '변하는 수' 또는 '미지수'가 떠오를것 입니다. 하지만 프로그래밍에서의 변수는 '저장공간'이라는 이미지가 더 큽니다. 물론 저장된 값이 바뀔 수 있고, 그 값이 어떤 수일지 모르니 '변하는 수', '미지수'의 의미가 아주 없는 것은 아니지만 값을 저장해야 할 때는 변수를 생각하시고, 변수를 보면 '값이 들어 있겠구나' 생각하면 됩니다.. 그럼 변수를 만드는 법을 설명하겠습니다. 파이썬에서 변수를 만드는 방법은 아주 간단합니다. a=10와 같이 "변수명=값" 형태로 써 주시면 됩니다. 여기서 '=' 역시 수학에서의 같다의 의미가 아니라 '오른쪽의 값을 왼쪽에 저장한다'의 의미입니다. 즉 위의 코드를 해석하면 "오른쪽에 있는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nhXNj/btqABsWbSAY/Bm0dZbHzRJk3fON5rlKukk/img.png)
이제 파이썬의 함수를 하나씩 공부해 보겠습니다. 왼쪽에 파이썬 코드를 적은 후 F5키로 실해을 하면 오른쪽에 결과가 나타납니다. 혹시 잊었다면 이전 내용을 차근차근 익히고 오세요. https://jsitclub.tistory.com/9 파이썬 독학#2 _ 드디어 파이썬을 실행 하다 - 파이썬을 실행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는데, 그 중 자주 쓰이는 방법 몇가지를 소개 하겠습니다.물론 파이썬이 먼저 여러분 컴퓨터에 설치 되어 있어야 합니다. 혹시 파이썬이 설치가 안되�� jsitclub.tistory.com 1. print() 함수 - 코드의 결과를 화면에 출력하는 함수입니다. #1: 문자열 "hello python"을 출력합니다. #2: 문자열 "3+6"을 출력합니다. 파이썬에서는 큰따옴표 나 작은따옴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