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ITCLUB
파이썬 독학 #3 - 화면에 보여주자 - 출력 본문
이제 파이썬의 함수를 하나씩 공부해 보겠습니다.
왼쪽에 파이썬 코드를 적은 후 F5키로 실해을 하면 오른쪽에 결과가 나타납니다.
혹시 잊었다면 이전 내용을 차근차근 익히고 오세요.
https://jsitclub.tistory.com/9
1. print() 함수
- 코드의 결과를 화면에 출력하는 함수입니다.
#1: 문자열 "hello python"을 출력합니다.
#2: 문자열 "3+6"을 출력합니다. 파이썬에서는 큰따옴표 나 작은따옴표로 묶여 있는 글자는 문자열이라 부릅니다. 문자열은 문자의 나열을 의미하는 것으로 "3+6"은 글자 그대로 출력됩니다.
중요!! 파이썬뿐만 아니라 컴퓨터는 문자(열)와 숫자를 구분해서 생각합니다. 그러므로 "3"과 3은 다른 것으로 구분하는 것이 좋습니다. "3"은 숫자가 아니라 "a", "b"와 같이 모양이 "3"와 같이 생긴 글자입니다
#3: 숫자 및 계산 결과를 출력합니다. 파이썬은 큰따옴표나 작은따옴표가 없는 숫자를 비로소 우리가 생각하는 숫자로 인식합니다. 그러므로 3+6의 결과 9를 출력하게 됩니다.
#4: 숫자와 문자열을 동시에 출력합니다. 파이썬의 print() 함수는 문자열과 숫자뿐 아니라 다양한 데이터 타입을 컴마로 구분해서 출력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주의 하실 것은 파이썬은 세로줄을 꼭 맞춰야 해요!!! 입력할때 앞에 공백이 들어가 줄이 안맞으면 오류가 납니다.
궁금하시면 print 문 앞을 스페이스바로 한칸 띄어보세요. 아래와 같은 메시지가 나올거예요.
#1
print("hello python")
#2
print("3+6")
#3
print(3+6)
#4
print("4 곱하기 3의 결과는 ",4*3,"입니다")
2. type() 함수
- 입력된 값의 자료형을 알려주는 함수입니다.
입력된 값이나 결과가 숫자형 인지 문자열인지 알고 싶을 때는 type() 함수를 사용하여 출력해보면 알 수 있습니다. "3+6"의 타입(자료형)을 알고 싶으면 그 문장을 type()의 괄호 안에 넣어 실행합니다. 그때 그 결과를 출력해야 하니 print()의 괄호 안에 type("3+6")을 넣어 결과를 출력합니다.
결과에서 'str'은 문자열을 의미하고 'int'는 숫자 중 정수형을 의미하는 것으로 첫 번째 두 번째 줄은 문자형이고, 세 번째는 정수형 임을 나타냅니다.
print(type("hello python"))
print(type("3+6"))
print(type(3+6))
3. 주석(comment)
- 코드에 설명을 적어놓을 때 사용합니다.
맨 위의 화면에서 #1,#2와 같이 #으로 시작하는 붉은색 코드를 주석(comment)이라 합니다. 주석은 코드와 함께 쓰여 있지만, 파이썬은 그 부분을 실행하지 않고 넘어갑니다. 그래서 설명을 남겨두거나 코드를 사용하지 않고 싶을 때는 맨 앞에 #을 붙여 주석처리를 해줍니다. (여러 줄을 한 번에 주석 처리할 때는 """(큰따옴표 3개) 또는 '''(작은따옴표 3개)로 시작 지점과 끝 지점을 묶어 주면 됩니다.
4. 부연설명
'함수'라는 용어를 앞에서 사용하였는데, 함수는 다음에 다시 설명드리겠습니다. 또한 type()함수의 결과 화면에 나오는 class 역시 객체지향을 설명할 때 다시 설명드리겠습니다. 지금은 잊어버리세요...^^
다만 여기서 기억해두실 것은 파이썬에서 함수의 형태는 "함수이름()"와 같이 함수의 이름과 괄호가 붙어있는 형태를 갖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이름 뒤에 괄호가 있으면 함수구나' 생각하시고, 또 '함수를 사용할 때는 뒤에 꼭 괄호가 있어야 하는구나'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제 앞에서 사용한 print()와 type()은 제가 함수라고 적지 않았어도 함수라는 것을 아실수 있으시겠죠?
함수는 파이썬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사용되는 개념이므로 자세한 설명이 필요하지만, 오늘은 이 정도만 기억하시면 됩니다.
'파이썬 > 입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독학#6 - 계산을 해보자 - 연산자 (0) | 2019.12.26 |
---|---|
파이썬 독학#5 - 파이썬과 소통하기 - 입력 (0) | 2019.12.24 |
파이썬 독학 #4 - 값을 저장하기 - 변수 (0) | 2019.12.23 |
파이썬 독학#2 - 드디어 파이썬을 실행 하다 (0) | 2019.12.18 |
파이썬 독학#1 - 설치 (다운로드 와 설치 그리고 반드시 체크할 사항) (0) | 2019.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