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ITCLUB
파이썬 독학 #4 - 값을 저장하기 - 변수 본문
프로그램을 배우지 않은 사람은 '변수가 무엇인가?' 질문받으면 수학 시간에 배운 '변하는 수' 또는 '미지수'가 떠오를것 입니다.
하지만 프로그래밍에서의 변수는 '저장공간'이라는 이미지가 더 큽니다. 물론 저장된 값이 바뀔 수 있고, 그 값이 어떤 수일지 모르니 '변하는 수', '미지수'의 의미가 아주 없는 것은 아니지만 값을 저장해야 할 때는 변수를 생각하시고, 변수를 보면 '값이 들어 있겠구나' 생각하면 됩니다..
그럼 변수를 만드는 법을 설명하겠습니다. 파이썬에서 변수를 만드는 방법은 아주 간단합니다.
a=10와 같이 "변수명=값" 형태로 써 주시면 됩니다. 여기서 '=' 역시 수학에서의 같다의 의미가 아니라 '오른쪽의 값을 왼쪽에 저장한다'의 의미입니다. 즉 위의 코드를 해석하면 "오른쪽에 있는 10을 왼쪽에 있는 변수 a에 저장한다(=대입한다, 담는다)"로 생각하면 됩니다.
변수 이름을 만드는 규칙 있습니다. 변수 이름은 영문, 숫자, 밑줄(_)를사용해서 만들 수 있는데, 공백이 들어가면 안 되고, 숫자로 시작해도 안됩니다. 또 예약어는 안되고, 대소문자를 구분합니다. 예약어는 쉽게 말해 파이썬이 이미 사용하는 단어들인데, 이것을 변수로 쓰면 혼동되니 쓰지 않는 것이고, 대소문자 구분은 a와 A는 다른 변수로 인식합니다.(같은 맥락으로 기본적으로 파이썬은 대소문자를 구분하므로 print()를 Print()라고 쓰면 오류가 발생합니다.)
#1
- 변수 a를 만들고 3을 저장합니다. a라는 변수가 처음으로 나왔으니 이 코드는 단순히 저장이 아니라 변수 a를 만들고 저장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print(a)를 통해 a의 값을 출력합니다.
- a=5 라인은 는 3을 담고 있는 변수 a에 다시 5를 저장하여 변수의 값을 바꾸는 작업을 합니다.
- 이번에도 print(a)를 실행했지만 값이 5로 나옵니다.
#2
- 변수 b를 만들고 3.14를 저장합니다.
- print(b)를 통해 b의 값을 출력합니다.
- b의 값을 수정합니다. 하지만 이번에는 숫자를 넣지 않고, 변수를 넣었습니다. 그러면 위에서 변수 a의 값이 5이므로 변수 b의 값은 5로 수정됩니다.
- print(b)를 통해 b의 값을 출력합니다.
#3
변수를 값(저장된 값)으로 생각하고 계산하는 방식. 이렇게 하면 변수의 값이 바뀌면 결과도 자연스럽게 바뀌겠죠.
#4 변수 b의 값을 1만큼 증가시키기
b=b+1 이런 형태는 앞으로도 많이 사용하게 되는데요. 앞에서 '='은 "오른쪽의 값을 왼쪽에 담는 것(대입 연산자)" 이므로 먼저 변수 b 에는 위의 작업으로 5가 담겨 있는데, 거기에 1을 더하여 6이 되고, 그 6을 변수 b에 담는 것이므로 결국은 b값이 6이 되죠.
간단히 말해 값이 5였던 변수 b를 6으로 1 증가시키는 코드가 됩니다.
오늘은 변수에 담는 저장하는 것을 살펴보았습니다. 저는 변수명을 a, b 라고 지었는데, 될 수 있으면 저장되는 값이 무엇인지 나타낼수 있는 이름을 지어주는 습관을 드리세요.
눈치채셨겠지만, 코드를 위에서 아래로 한줄한줄 책 읽듯이 설명드렸는데, 파이썬도 우리가 만들어놓은 코드를 이렇게 한줄한줄 순서대로 해석하므로, 코딩할 때는 순서를 생각해서 작성하셔야 합니다.
check!
변수는 당연히 만들어져 있어야 사용 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위에서 a=0 과 같이 만들지 않고 바로 print(a)라고 갑자기 사용하면 에러가 납니다.
'파이썬 > 입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독학#6 - 계산을 해보자 - 연산자 (0) | 2019.12.26 |
---|---|
파이썬 독학#5 - 파이썬과 소통하기 - 입력 (0) | 2019.12.24 |
파이썬 독학 #3 - 화면에 보여주자 - 출력 (0) | 2019.12.20 |
파이썬 독학#2 - 드디어 파이썬을 실행 하다 (0) | 2019.12.18 |
파이썬 독학#1 - 설치 (다운로드 와 설치 그리고 반드시 체크할 사항) (0) | 2019.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