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ITCLUB
파이썬 독학#16 - 범위를 정해줘 - range() 함수 본문
range() 함수는 입력된 매개변수에 따라 다른 값을 갖는다.
1.range(정수)
: 0 부터 정수 미만까지 의 숫자를 요소로 갖는다.
2.range(정수1,정수2)
: 정수1 부터 정수2미만 까지 의 숫자를 요소로 갖는다.
3.range(정수1,정수2,정수3)
: 정수1 부터 정수2미만까지 정수3의 간격의 숫자를 요소로 갖는다.
#1
요소를 보고 싶을때는 리스트나 튜플로 형변환해서 출력합니다. (그냥 print()문에 넣으면 위와 같이 함수모양으로 출력됩니다.)
#2
5번 반복하기 같은 경우 range()함수를 이용하여 반복하면 편리합니다.
여기서 갯수는 5개이지만 1부터 5까지가 아니라 0 부터 4까지 라는 점 꼭! 기억하세요
#3
for문을 이용하여 문자열이나 리스트 의 요소를 을 출력 할 때 위와 같이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먼저 사용한 방법은 for문에서 배웠듯이 요소를 하나씩 출력하는 방법
두번째는 len()함수 ,range()함수 그리고 인덱스를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for i in range(len(s)) -> for i in range(5) -> for i in [0,1,2,3,4] -> 문자열의 인덱스를 이용해 처음에는 s[0],s[1],s[2]..를 차례대로 출력하게 됩니다. |
처음에는 무척 혼동 되는데, 두가지 방법모두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두번째 방법은 자주 사용되므로
반드시 숙지 해야 합니다.
주의!
range() 함수의 매개변수가 문자열 슬라이싱과 비슷해서 둘을 혼동해서 range[0:10:2] 또는 range(1:10) 과 같이 쓰는경우가 있는데, 함수는 반드시 함수명 뒤에 괄호가 오고 그안의 매개변수는 컴마(,)로 구분합니다.
#1
print(range(5,10))
print(list(range(10)))
print(list(range(5,10)))
print(list(range(0,10,2)))
print("-"*20)
#2
for i in range(5):
print(i)
print("-"*20)
#3
s="hello"
for c in s:
print(c)
print("-"*20)
for i in range(len(s)):
print(s[i])
'파이썬 > 입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 기초 연습문제 (0) | 2020.05.28 |
---|---|
파이썬 독학#17 - 자주하는 일은 미리 만들어놔요 - 함수 (0) | 2020.05.21 |
파이썬 독학#15 - 같은 작업은 나에게 - 반복문 (0) | 2020.05.18 |
파이썬 독학#14 - 맞나? 틀리나? - 조건문 (0) | 2020.04.17 |
파이썬 독학#13 - 특별하게 담는법 - 사전(dict) ,집합(set) (0) | 2020.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