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ITCLUB
파이썬 독학#9 - 숫자들의 종류 (int , float, complex ) 본문
파이썬에서 숫자에 관련된 자료형은 int(정수형), float(실수형), complex(복소 수형)이 있습니다.
우선 파이썬은 특별히 선언하는 작업이 없으므로 값의 형태에 따라 자료형이 결정됩니다. 간단히 말해 파이썬에서는 정수와 실수가 수에 소수점이 있는지 없는지에 따라 자료형이 결정됩니다. 심지어 담겨있는 값에 따라 변수의 자료형마저 바뀌어 버립니다.
다시 말해 같은 변수 a 에 정수 5를 넣으면 a의 자료형은 정수형이 되고, 실수 5.0을 넣으면 변수 a의 자료형은 실수형이 되며, 복소수 형태 5+0j를 넣으면 복소수가 됩니다. (이런 점은 우선 편리하지만 나중에는 무척 불안한 요소가 되므로 자료형을 넣을 때 주의해야 합니다.)
우선 정수형은 컴퓨터가 가장 좋아하는 형이라고도 하는데요. 왜냐하면 일반적인 수와 문자들은 컴퓨터에 저장될때 주로 이진수 정수 형태로 저장되기 때문입니다. 실수는 특별한 형태로 저장이 되죠. 그래서 컴퓨터에서는 정수와 실수는 서로 다른 형태로 수학에서 처럼 포함관계가 아닙니다.
간단히 테스트 해볼까요? 152의 1000 제곱을 해보겠습니다.
뜨악! 읽은 수도 없는 수가 나오네요
그런데 똑같은 계산이지만 152.0을 1000제곱하면
위와 같이 오류가 나옵니다.
하지만 특별히 매개변수를 정수로 받는 경우가 아니면 특별히 구분해서 쓰지 않습니다. 둘 모두 사칙연산이 가능합니다. 단, 여기서 정수와 실수의 계산 값은 실수로 나오면 나눗셈의 결과는 실수로 나오는 것만 기억하시면 됩니다.
만약 실수를 정수로 바꾸고 싶다면 int() 함수을 사용하여 형변환을 하면 됩니다. 반대로 정수를 실수로 바꿀때는 float() 함수를 사용하고요. 파이썬에서는 자료형의 이름으로 된 함수는 형변환 함수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나중에 형변환에서 설명드리겠습니다.
복소수는 허수를 나타낼 때 i대신에 j을 사용한다는 것과 메서드(함수)들이 있기는 이 있기는 하지만 여기서 다루지 않겠습니다. 왜냐하면 이것을 쓸 일이 일반적으로 있을지 모르겠네요.
한 가지 더 말씀드리면, 파이썬에서는 숫자는 그냥 사용하시면 됩니다. 위에서 보셨듯이 우리가 읽을 수도 없을 정도의 수를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언어에서 범위를 기억하고 값이 넘어갈까 신경 쓸 필요는 없습니다.
'파이썬 > 입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독학#11 - 문자를 다루는법 - 문자열(str) 2 (0) | 2020.01.02 |
---|---|
파이썬 독학#10 - 문자를 다루는법 - 문자열(str) 1 (0) | 2019.12.30 |
파이썬 독학#8 - 참,거짓 - bool (0) | 2019.12.27 |
파이썬 독학#7 - 값들의 종류 - 자료형 (0) | 2019.12.26 |
파이썬 독학#6 - 계산을 해보자 - 연산자 (0) | 2019.12.26 |